처음 우을증을 의심으로 병원에 방문하게 되면 상담을 하고 약을 처방받는데 보통 SSRI계열의 푸로작, 듀미록스, 세로자트, 졸로푸프을 처방받는데요. 이게 잠을 오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평소보다 많은 잠은 정상은 아니에요.
보통 우울증약은 졸음, 발기부전, 성욕감퇴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데 사람과 약 종류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거나 그렇지 않는 분들이 있어요. 그래서 문제가 있는 경우에 약을 빠르게 교체해야해요.
우울증 증상
1. 감정증상
일반적으로 가장 쉽게 알 수 있고 주변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요. 갑자기 기분이 좋아지거나 혹은 나빠지거나 하면서 소외 말하는 오락가락 하는 증상을 보여요.
특히 자존감이 떨어지면서 어떤 일이던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배려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나를 돌보지 않고 남을 먼저 생각하면서 자기를 사랑하지 못하고 자꾸 자기 혐오에 빠지는 경우가 일어나요.

2. 신체적 증상
대표적으로 잠이 없어져요. 하지 않아도 되는 걱정을 하면서 밤을 지새우는 경우가 많아서 잠이 없어진다기 보다는 제시간에 잠을 자지 못하면서 신체 리듬이 망가지는 경우가 많아요. 밤 낮이 바뀌면서 악순환이 되는거죠.
잠을 잘 자지 못하면서 쉽게 피로감을 느껴요. 쉽게 피로하니 어떤일이던지 관심이 떨어지면서 점점 사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행동이 진행되요. 점점 폐쇠된 생활환경에서 짜증이 늘어나게 되는 거죠.
3. 인지문제
기억력, 사고력, 집중력이 점점 약해져요. 어떤 일을 진행하거나 완성을 해야하는데 인지 문제가 생기면서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도 점점 해결이 어려워져요. 그러면서 자기 자신에게 불만도 생기고 실패의 감정이 쌓여나가요.
이런 인지 문제는 나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나에게 어떤 일을 맏기거나 부탁을 함에 있어서 장애요소가 되는데요. 결국 인간 관계가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 빠지게 되는 큰 원인이 되죠.
우울증 약의 증상
1. 졸음
우울증약의 성분은 대표적으로 세가지가 있어요. SSRI, SNRI, TCA이 세가지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는데 대부분 SSRI로 귀결되는 특징이 있죠.
다른 성분의 약을 사용하다가 안돼면 SSRI성문의 약을 쓰는데 이게 졸음을 유발하는 경향이 아주 높아요. 사람마다 전부 그런건 아니지만 잠을 유도해서 편안한 감정을 들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죠.

2. 강박증
강박증은 여러 형태로 나올 수 있어요.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게 청소에 대한 강박이죠. 이건 우울증에 의해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알기 쉽게 설명해 드려요.
우울증 약을 먹으면서 생기는 강박증은 “난 약이 없으면 생활 할 수 없어”이런 생각으로 약이 필요 없음에도 자꾸 약을 찾는 경우가 있어요. 때로는 손가락 한 곳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계속해서 긁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구요. 약을 복용하면 없던 강박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의사와 상의해서 꼭 약을 바꿔야 해요.
우울증약의 대표적인 증상이 잠을 많이 오게 하는데요. 이는 일반적인 증상이에요. 하지만 누가 봐도 걱정 할 만큼 평소에 비해서 비중이 늘어난 다면 약을 바꿀 필요가 있어요. 담당 의사분에게 꼭 설명하고 지시를 받아야 해요.